김영호의언론시평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구심점 없는 열린당 내 통합신당 논의
[김영호 칼럼] 열린당 살 길은 버릴 사람 버리고 신당작업 주도하는 일
 
김영호   기사입력  2007/03/09 [19:48]

 정당정치란 정당의 정강-정책을 지지하는 국민의 이익을 대변한다. 집권당과 반대당이 견제와 균형을 통해 지지기반의 이익을 최대한 국정에 반영하는 정치체제인 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정치지형은 반대당의 독주와 집권당의 소멸로 표현된다. 대선가도의 선두권에는 한나라당 주자끼리 각축을 벌이고 그 후미에는 뚜렷한 주자가 없다. 열린우리당이 자구책으로 통합신당을 논의하나 미궁에 빠진 상태다. 이런 형국에 국민의 반쪽은 정치적 지향점을 찾지 못해 방황하는 모습이다.  
 
 비주류출신 '노무현의 대통령' 탄생은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탄핵구출' 또한 같다. 국민들은 다시 4-13 총선에서 급조정당 열린우리당에게 과반수의 의석을 몰아줬다. 이런 정치적 사건마다 그 뒤에는 이 나라의 온갖 모순을 교정해달라는 국민적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집권세력이 그것을 너무나 쉽게 등지고 말았다. 열린우리당이 청와대의 덫에 걸려 입만 열지 귀는 열지 않은 채 말이다.   

 그 실망과 좌절이 여러 차례 재-보선에서 분노로 표출되었다. 열린우리당은 영패의 연속을 맛봐야 했던 것이다. 이것은 집권세력의 연이은 실책이 한나라당에게 바친 반사이득이었다. 하지만 국민의 엄중한 경고를 번번이 선거결과에는 연연하지 않는다는 말로 민의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5-31 지방선거는 열린우리당에게 산사태 같은 참패를 안겨줬다. 정치적 탄핵이란 해석이 가능했다. 그들은 잠시 기겁하는 표정을 짓는가 했더니 빠른 복원력을 갖고 옛 모습으로 돌아가고 말았다.

 흠집투성이 수구적 인사들을 너무 많이 중용했다. 요직에 포진한 '386'들이 민심을 거역하는 언행을 서슴치 않았다. 청와대에서 쏟아지는 숱한 말이 국민을 너무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첫 손가락을 꼽을 만한 말이 한나라당한테 권력을 통째로 넘겨 줄 수 있다는 느닷없는 연정론이었다. 국민적 논의도 거치지 않고 불쑥 미국과 FTA(자유무역협정)를 맺는다고 야단이다. 그것도 반대의견을 매도하면서 말이다. 

 대선국면이 달아오르나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의 지지도가 바닥을 맴돌며 탈출구를 모른다. 급기야 열린우리당에서 '실용'과 '쇄신'을 말하던 세력과 '개혁'과 '변화'를 말하던 세력이 나눠 탈당을 결행했다. 국민이 만들어준 제1당이 제2당으로 전락해 버렸다. 대통령이 탈당했으니 집권당도 아니다. 열린우리당이라는 우리에 갇혔는지 대선주자들의 지지율도 저점에 얼어붙어 뜨기를 마다한다. 정치생명을 재촉하는 시각은 멈출 줄 모르는데 말이다.  

 열린우리당이 통합신당을 논의한다고 하나 세월만 허송하는 느낌이다. 이대로 가면 또 다른 탈당사태가 이어질 듯싶다. 그런데 통합신당 논의구조를 보면 현실적 긴박감이 보이지 않는다. 6월까지 통합신당을 만들어서 국민경선제를 추진한다니 말이다. 6월이면 대선국면은 중반전에 돌입한다. 잠재적 지지자들이 그 때까지 한가하게 열린우리당의 재창당이나 바라보리라고 기대한다면 오산이다.

 열린우리당이 통합신당을 말하면서 중도개혁과 평화개혁을 표방하고 나섰다. 무슨 소리인가 싶었는데 그 실체가 사학법 재개정과 출자총액제한제 완화를 둘러싸고 드러났다. 정체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집권세력의 대체적인 정책방향은 진보를 가장한 보수이다. 정체성은 위기로 치닫고 실정은 거듭되는데 반성을 모르니 지지세력이 이탈할 수밖에... 진보의 가치가 훼손된 데 따른 실망의 표시다.   

 열린우리당이 시민운동가나 덕망가 몇 사람을 영입한다고 국민적 지지를 되찾으리라고 믿는다면 오판이다. 민주당과 합당하면 호남지역에서 세력규합이 가능하다는 판단도 마찬가지다. 이대로 가면 정권창출은 고사하고 국회의원 당선도 어렵다. 당명이나 바꾸고 간판을 새로 포장한다고 통합신당의 의미를 갖는 게 아니다. 기득권을 버려야 한다. 그리고 제3지대에서 한나라당에 대항하는 진정한 의미의 진보정당 창건에 나서야 한다.

 열린우리당이 살길은 버릴 사람은 버리고 신당작업을 주도하는 일이다. 그 과정에서 지도력과 정치력을 발휘하는 인사가 나온다면 그가 대통령 후상할 수 있다. 제3의 주자도 입지를 구축해줘야 영입이 가능하다. 국민의 절반은 개혁과 변화라는 시대정신을 구현할 새로운 정치세력의 등장을 갈구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열린우리당이 그 구심점에 나서길 바란다. 시간은 열린우리당의 편이 아니다. 




언론광장 공동대표
<건달정치 개혁실패>, <경제민주화시대 대통령> 등의 저자  
본지 고문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7/03/09 [19:48]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