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서예의 고향 중국에서 느낀 한글 붓글씨의 힘
[현장] 중국에서 나를 지켜주는 한글, 한국과 중국이 한글로 가까워지길
 
이대로   기사입력  2008/01/04 [18:49]
내가 중국에 와서 중국 대학생들에게 한국말과 한국문화를 가르친 지 벌써 한 학기가 지나고 겨울방학이 며칠 남지 않았다. 이곳은 한국보다 춥지 않아서인지 1월 20에 겨울방학이 시작해 2월 말까지다. 겨울방학은 한국보다 짧은데 여름방학은 더워서인지 길다고 한다. 한문 땅 중국에서 중국 학생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한국문화를 자랑하게 되어 가슴이 뿌듯했지만 가족과 고국을 떠나 생활한다는 게 쉽지 않았다.
 
그런데 힘이 들 때 나를 지켜주고 내게 힘을 주는 게 한글 붓글씨였다. 그리고 한글과 한국어를 좋아하는 중국 학생들이었다. 한글을 사랑하고 이국땅이어선 지 한글 붓글씨가 그렇게 아름답게 보일 수 없었다. 더욱이 중국의 한문 붓글씨 대가인 왕희지의 본고장에서 보는 한글 붓글씨는 남다른 감회를 주었다. 내가 이곳 중국에서 살면서 한글 붓글씨를 보고 느낀 이야기를 적어봤다.  
 
1. 나를 자식처럼 걱정해주시고 이끌어주시는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이상보회장님께서 써주신 한글 붓글씨다. 내가 중국에 온다고 하니 81살의 어른이 격려차 써주셨는데, 내가 이웃나라와 이웃친구들과 갈등으로 마음 고생을 할 줄 내다보시고 힘내라고 써주신 거 같다.
 
안국동 ‘아름다운 가게’에서 만났을 때  “ 아름다운 가게가 신촌에도 있고 여기 저기 있다. 헌 책이지만 여기 좋은 책이 많다.”라고 하시며 책을 사시는 걸 보고 나도 중국 학생에게 주려고 동화책과 위인전 등 책을 한 보따리 샀다. 그날 내게 점심까지 사주시며 힘내라고 하신 이 회장님은 17대 국회에서 나와 함께 한글날을 국경일로 만드는 데 애를 많이 쓴, 한글날 국경일 제정 1등 공로자인 정두언의원의 장인이 되시는 분이다. 
 
▲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이상보회장님께서 써주신 한글 붓글씨.    © 이대로

2. 십수 년 전부터 나와 한글사랑운동을 하던 전북 부안에 사시는 김명수 선생이 당신의 칠순 기념 겸 내 중국 진출을 격려하는 마음으로 “한글자랑, 우리말글 우리얼”이라고 써준 붓글씨다. 김명수 선생은 우체국장을 지낸 교회 장로인데, 교회 계통을 통해 내외국인에게 ‘한글사랑’이란 말과 함께 ‘할렐루야’라고 쓴 붓글씨를 수십만 장 써 보낸 분이다. 붓글씨를 하나 써주려는 데 어떤 글이 좋으냐고 하셔서 " 앞으로 외국인에게 한글을 마음껏 자랑하는 운동을 하겠노라고 ‘한글자랑’이라고 써주시죠."라고 부탁한 것이다.
 
이 분은 가끔 우리 회보에 쓴 내 글을 보고 “아우야! 이번 네 글을 보니 내 속이 시원하다. 영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국무총리니 학자니 하는 것들 모두 썩어빠진 놈들이여! 나 촌구석에서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못하는 디 니가 대신 다 말해주니 고맙다. 내 이참에 10만원 보낼 테니 더울 때 찬물이라도 사마시며 힘내 싸우라고.” 하며 힘을 주시는 분이다. 이번 칠순 잔치는 당신의 어머니 98살 잔치와 함께 부안 문화원에서 크게 하셨는데 내가 중국에 있어서 가 뵙지 못해 죄송하고 아쉬웠다. 
 
▲ 김명수 선생이 칠순 기념으로 써준 "한글자랑, 우리말글 우리얼" 붓글씨.    © 이대로

3. 올해 한글날에 월수대에서 개최한 ‘한글 큰잔치’ 때 한글서예전시회를 했는 데 그 때 전시한 이주형 선생 작품이다. ‘대장금’이란 연속극에 나오는 붓글씨를 쓴 분이고 또 다른 연속극에서 붓글씨를 쓰는 장면에 출연하는 이주형 선생이, 내가 외국에서 한글과 태권도 보급에 애쓰는 것에 감동했다며 격려차 기증한 것이다. 남이 잘 되는 걸 시기하는 한국인이 많고, 내가 중국에 온 것을 시원하게 생각하는 이가 많은데 격려해주는 한국인에 내가 감동되었다. 
 
▲ 2007년 한글날 월수대에서 개최한 ‘한글 큰잔치’ 때의 이주형 선생 작품.   © 이대로

4. 한국서학회 부회장이고 전 인천교대교수로서 정년퇴임하고 지금 나와 함께 중국 학생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박병천 교수님이 써준 ‘월수태권도’란 붓글씨다. 이곳 소흥은 중국의 유명한 서예가인 왕희지가 살고 작품 활동하던 역사가 있는 곳이다. 박교수님은 중국 학생들에게 한글 붓글씨도 가르치면서 이곳에 한글 씨앗을 뿌리는 일에 수고하시고 있다. 일부러 옛 훈민정음 창제 때 쓰던 글씨체로 써주시고 마지막 '도' 자에 낙관까지 찍어주셨다. 나는 날마다 한글과 태극기와 중국 국기를 보면서 두 나라가 모두 한글을 쓰면서 친하게 지내는 날이 오길 기원하고 있다. 
 
▲ 한국서학회 부회장이자, 전 인천교대 교수인 박병천 교수의‘월수태권도’란 붓글씨.    © 이대로

위 붓글씨는 모두 한글사랑, 겨레사랑, 나라사랑 정신과 동지애가 담긴 명필이다. 나는 이 중국 땅에서 날마다 보면서 힘을 받고 마음을 가다듬고 있다. 내게 “한글이 나를 지켜준다.“고 믿게 하는 부적과 같은 작품들로서 먼 훗날 큰 기념이 될 것이다.
 
아래 사진은 내가 한글을 가르치는 한국어과 제자들이 손으로 떠서 선물한 목도리를 목에 두르니 매우 따뜻했다. 이곳 겨울은 영하 날씨는 아니어도 비가 자주오고 체감온도가 춥다. 한글을 배우는 중국 제자들이 준 선물이라 이 또한 뜻이 깊은 물건이라 태권도장에서 사진을 찍었다.  내가 한글과 한국문화를 가르치며 자랑한 마음이 통한 제자들의 사랑과 한글정신이 단김 작품이다.  
 
▲ 중국제자들이 선물한 목도리를 감고 있는 필자의 모습.    © 이대로


<대자보> 고문
대학생때부터 농촌운동과 국어운동에 앞장서 왔으며
지금은 우리말글 살리기 운동에 힘쓰고 있다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공동대표

한국어인공지능학회 회장

한글이름짓기연구소 소장
세종대왕나신곳찾기모임 대표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8/01/04 [18:49]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