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신학림 전 위원장 횡령의혹, 사실과 다르다"
언론노조 사무처, 이준안 위원장에 공개질의서 전달...내홍 조짐
 
이석주   기사입력  2007/04/26 [01:43]
전국언론노동조합 사무처 상근 직원들이 25일 조합원들에게 보내는 성명을 통해 이른바 '조합비 횡령 파문'에 휩싸인 일련의 의혹들을 해명하고 나섰다.
 
이날 성명은 △총무 담당 직원의 3억여원대 횡령 △정치자금 횡령 의혹 △신학림 전 위원장의 횡령 의혹 등 크게 3가지 의혹들에 대한 해명으로, 사무처 직원들은 "총무담당 직원의 횡령은 인정하지만 나머지 의혹들에 대해선 사실과 큰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무처 직원들의 이날 성명은 이준안 언론노조 위원장이 지난 23일 노조 내부 사건을 검찰에 고발한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횡령 의혹을 둘러싼 언론노조 내부의 미묘한 갈등이 수면위로 올라온게 아니냐는 주장이 일고 있다.
 
"신학림 전 위원장 의혹, 사실과 많이 달라"
 
상근 직원들은 이날 공동명의의 성명을 내고 "지난 20일 중앙집행위원회에 상정된 안건 중 조합비 횡령 의혹과 관련한 보고서가 있었다"며 "이 보고서에는 현재 일고 있는 3대 의혹이 들어가 있고, 회의에 참석한 사무처 구성원들 모두가 이를 봤다"고 전했다.
 
▲이준안 위원장과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언론노조 사무직 상근 직원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조합비 횡령 의혹'을 해명했다.     © 이슈아이 이석주

이들은 먼저 채용직 직원의 3억원대 횡령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의혹을 사실로 인정했다. 이들은 "총무 담당 직원의 횡령은 당사자도 인정했다"며 "조합원들이 느낄 충격과 당혹감에 대해 아무리 죄송하다는 말을 해도 부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그러나 보고서에서 드러난 신학림 전 위원장의 횡령 의혹과 정치자금 횡령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관계를 둘러싸고 매우 큰 차이가 있다"며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음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조합원들이 지난 2004년 스포츠조선의 내부적인 문제로 투쟁을 했고 이 과정에서 회사측이 당시 신 위원장의 급여 50%를 가압류했다"며 "이에 언론노조는 사무처 회의를 열어 규정에 따라 50% 가압류 부분을 나중에 변제하는 조건으로 (신 위원장에게) 보전해 준 것"이라고 밝혔다.
 
상근 직원들은 또 "신 위원장의 직장인 코리아타임스가 상여금을 두 차례에 걸쳐 몇 개월씩 상습적으로 체불하는 일이 발생했다"며 "신 위원장은 언론노조가 보전해준 금액을 코리아타임스 퇴직 후인 지난 3월 말 모두 상환했다"고 해명했다.
 
특히 정치자금 횡령 의혹과 관련, 이들은 "노조 내 공식문서와 기억을 통해 당시 집행된 정치자금 용도를 작성하고 있다"며 "검찰 수사를 통해 정치기금 등이 사적인 용도로 사용된 사례가 발견된다면, 피눈물을 토하는 심정으로 책임을 지겠다"고 주장했다.
 
'조합비 횡령 의혹'으로 불거진 언론노조 내부 갈등
 
한편, 언론노조 사무직 직원들의 이날 성명은 검찰 고발을 둘러싸고 신임 이준안 위원장과 미묘한 입장차를 내비치면서 언론노조 내부의 갈등이 표출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7일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전국언론노동조합 제4기 출범식이 열렸다. 전임 언론노조 신학림 위원장에게 받은 언론노조 깃발을 신     © 대자보

실제로 조합비 횡령 파문이 불거진 이후 언론노조 내부에서는 '검찰 수사를 통해 일련의 의혹을 해명하자'는 주장과 '언론노조 내부에서 자체 진상조사를 실시하자'는 의견이 충돌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국 이 위원장이 중앙집행위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검찰에 고발해 공식적으로 수사를 의뢰했지만, 이번 사건으로 촉발된 노조 내부의 갈등은 쉽사리 봉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무직 직원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유감스럽게도 전격적인 검찰 고발 및 진정이 이뤄지기까지 언론노조의 공식 조직은 거의 가동되지 않았다"며 "이에 공식 답변을 요구하는 공개질의서를 24일 이준안 위원장에게 전달했다"고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이들은 또 노조 대표들이 '보안 유지'를 약속했지만 현재 모든 매체에 보도된 상황을 지적하면서 "신 전 위원장과 김종규 전 수석부위원장, 이 위원장 등 세 명이 만나 언론노조에 미칠 영향 등을 감안해 보안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이런 보안은 사무처 외부에서 깨지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언론노조 차원의 공식 절차 등을 통해 진상조사를 진행하는 게 필요하다는 판단을 했다"며 "검찰 수사는 이후의 문제라고 봤다"라고 밝혀 이준안 위원장의 검찰 고발 방침이 적절치 않았음을 시사했다.
 
아울러 사무직 직원들은 "이번 사태로 인해 언론노조의 브랜드와 조직에 가해지는 타격을 최소로 줄여보고자 하는 의미로 성명을 발표한 것"이라며 "진상을 파악하는 과정에 최대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슈아이 (www.issuei.com) / 대자보 제휴사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7/04/26 [01:43]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