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한나라 'KBS·MBC 생중계거부' 전면전 선포
한나라당 경선후보 5인, TV토론 생중계 거부는 '한나라당 죽이기'
 
김광선/손봉석   기사입력  2004/03/19 [11:15]

KBS·MBC '총선전 특정정당 행사는 공정성 훼손' 거부, 탄핵 '편파보도'시비 연장

한나라당과 공중파 양대방송사들 사이에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KBS와 MBC가 '총선을 앞두고 특정정당만을 위한 토론회를 내보낸다면 공정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라는 이유로 한나라당 임시전당대회에서 뽑힐 당 대표 후보들의 TV토론회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에 한나라당 경선 후보5명은 19일 대책회의를 통해 "TV토론 생중계를 촉구한다"며 "토론회를 생중계하지 않으면 노무현 정권과 코드를 맞춘 '한나라당 죽이기'로 규정하고 모든 합법적 수단을 동원해 응징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날 오전 5명의 대표경선 후보들은 사무총장실에서 대책회의를 통해 두 방송사의 TV토론 생중계 거부에 대해 강력히 성토하고 나섰다.

후보들은 일제히 "객관성, 공정성, 중립성이 결여됐다"면서 "스스로 편파방송 시비에 걸리는 것을 안했으면 좋겠다"면서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특히 김문수 후보는 "방송이 일방적으로 선동, 계몽하는 것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헤치는 거"이라면서 "어용성으로 개혁을 하는 것은 공정성과 객관성에 문제가 있다"고 성토했다.

또 박근혜 후보는 "'하나를 보면 열을 알수 있다','솥단지에서 끊고 있는 소고기 한점만 뜯어 먹어봐도 음식의 맛을 알 수 있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이번 문제는 탄핵과 기타 문제에 있어서 '편파성이 있는 것 아니냐, 선거도 앞으로 그렇지 않느냐'라는 불신을 심어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권오을 후보는 "정치도의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면서 "반드시 TV토론회는 성사시켜야 한다"고 언급했고, 박진 후보는 "YTN과 MBN 좌담형식의 방송을 해줬는데, KBS와 MBC가 합동토론 생중계를 안해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라면서 "이것은 경선 자체에 결함이 생기는 것이기에 생중계를 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오전 회의를 마치고 성명서를 통해 두 방송사가 TV토론회를 거부하는 것에 대해 "도저히 납득할 수도 용납할 수도 없는, 공영방송이기를 스스로 포기하는 방송권력의 횡포가 아닐 수 없다"면서 "불과 두달 전에 열우당의 당의장 경선 과정을 상세하게 보도했던 방송사들이 여야 형평성을 구실삼는 것도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들은 '음모론'을 제기하면서 "예정됐던 생중계 TV토론까지 느닷없이 취소하겠다고 나선 것은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죽이기'을 위한 음모가 아니냐는 의심마저 들게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두 방송국을 차례로 방문을  해 TV토론회 생중계를 요구했다.

KBS를 찾은 후보들은 방송국 고위간부를 만나 "선거법에 금지사항이 없으니 토론회를 방송해달라"며 토론회 중계를 거듭 요구했다.

박진 후보는 "총선이 가까운 것은 알지만 공당의 행사이니 만큼 공영방송이 방송을 해 주기 바란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에 대해 KBS측은 이미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민주당이 전당대회를 치를 때 마다 토론회를 1차례씩 해준 사실을 상기시키며 한나라당의 당내행사인  토론회를 중계할 경우 다른 당과의 형평성이 문제가 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하지만 이런 방송국측 입장에 대해 김문수 의원은 "횟수가 뭐가 문제냐"며 한나라당 후보토론회를 방송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한나라당과 두 방송사가 갈등을 빚는 것은 탄핵 편파보도' 시비와 연결된 것으로서 쉽게 해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MBC 보도제작국 관계자는 지난 18일 "총선을 앞두고 특정 정당의 후보만 출연하는 토론회를 내보내면 공정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중계하지 않기로 내부방침을 정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전당대회 후보자들에 대한 중계방송 여부는 전적으로 방송사 재량으로 선거법에 저촉받지 않는다"고 언급하면서 토론회 거부를 고수한바 있다. 뿐만아니라 KBS도 같은 이유로 한나라당 대표경선 후보 토론을 중계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해, 향후 양측의 갈등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KBS 관계자도 "형평에도 맞지 않고 시의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토론회를 막무가내로 중계해 달라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자의적인 해석에 따른 근거도 없는 요구를 방송국의 중요한 행사까지 변경하게 피해를 주면서 요구하러 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KBS는 이날 오전부터 노사간에 공정방송위원회를 열 계획이었으나 한나라당 대표경선 후보들의 예고 없는 방문으로 일정을 조정해야 했다.   

한 방송관계자는 "예정에 없던 프로그램을 '공당의 행사니까 중계를 해야한다'는 이유로 갑작스럽게 중계해 달라고 강요하는 것은 편성을 모르는 것"이라며 "솔직히 지금 한나라당의 주장은 자의적인 판단에 의지한 것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한나라당 후보들의 방송국들에 대한 항의방문에는 언론인 출신인 고흥길 의원과 전여옥 대변인 등이 함께 동행했다.     

아래는 한나라당 대표경선 후보자들의 성명서 전문이다.



[성명서] 두 공영방송사는 즉각 생중계 TV토론을 편성하라.

KBS·MBC 등 대한 민국 양대 공영방송사가 대한민국 제1당 한나라당 대표선출을 위한 생중계 TV토론을 무산시키려 기도하고 있다.

도저히 납득할 수도 용납할 수도 없는, 공영방송이기를 스스로 포기하는 방송권력의 횡포가 아닐 수 없다.

두 공영방송사는 선거법위반 시비 및 여야 형평성을 그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그것이야말로 반드시 생중계 TV토론을 수용해야 할 이유이다.

선관위에 문의한 결과 당내 경선이므로 선거기간과 관계없이 방송사측이 자체 판단할 사안이라는 유권해석이 나왔다.

책임있는 공영방송사라면 돈 안들고 깨끗한 미디어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우리당의 노력에 적극 협조해야 백번 옳다.

불과 두달 전에 열우당의 당의장 경선 과정을 상세하게 보도했던 방송사들이 여야 형평성을 구실삼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국민의 공적재산인 공중파가 40여석 여당의 대표선출 행사엔 사용될 수 있고 140여석 원내 제1당 야당의 대표선출 행사엔 사용될 수 없다는 얘기는 궤변이다.

더욱이 두 방송사는 근래 두차례나 노무현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생방송 했지만, 우리당의 반론기회 요구를 묵살한 바 있다.

또한 탄핵정국 이후 갖가지 특집프로까지 임의 편성해 탄핵안을 의결한 국회와 야당을 함부로 매도하기에 바빴다.

급기야 이미 예정됐던 생중계 TV토론까지 느닷없이 취소하겠다고 나선 것은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죽이기'를 위한 음모가 아니냐는 의심마저 들게 한다.

우리당은 엊그제 열우당 어느 실세 의원의 "선거법 위반" 운운의 딴지걸기 직후에 두 방송사가 약속이라도 한 듯 생중계 TV토론 불가 방침을 통보해 왔다는 사실을 주목한다.

설령 두 방송사가 열우당과 교감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그 극심한 편파적 행태는 결과적으로 열우당 돕기라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다.

이에 우리 한나라당 대표경선 후보자들은 비상한 인식하에 두 공영방송사가 즉각 생중계 TV토론을 편성해 줄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

만약 이를 계속해서 거부한다면 부패하고 무능한 노무현 정권과 코드를 맞춘 '한나라당 죽이기'로 규정하고 모든 합법적 수단을 동원해 응징할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두 공영방송사가 방송의 생명인 공정성, 객관성, 중립성을 다시금 상기하고 진정한 공영방송의 위치를 되찾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2004년 3월 19일

한나라당 대표경선 후보자 일동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4/03/19 [11:15]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