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김철관과 '브레이크뉴스'는 DTV 대책위 대변인?
DTV 전송방식에 대한 생각
 
김동민   기사입력  2004/02/08 [08:21]

디지털TV 전송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끝을 모르고 이어지고 있다. KBS가 비교시험을 하기로 했지만 그것으로 논란이 종식되지는 않을 것이다. 기술의 문제가 모든 게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이 사안을 언급하기는 대단히 부담스럽다. 하여 그저 잘 해결되기를 바라며 지켜볼 따름이다.

그러나 이곳 <브레이크뉴스>와 <오마이뉴스>에 똑같은 글을 동시에 끊임없이 올리는 김철관 기자의 태도에 대해서는 더 이상 묵과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그는 작년 2월5일 ‘노무현 당선자는 디지털TV 방송정책 약속 지켜라’에서 시작하여 1주년이 되는 지난 5일의 ‘DTV 유럽식, 이동수신 고화질 양립 가능’에 이르기까지 무려 79건을 올렸다. 모두가 DTV 문제이며, 모두가 유럽식을 선호하는 DTV대책위의 주장을 그대로 옮긴 내용이다.

김철관은 기자인가, DTV대책위의 대변인인가? 그리고 그의 글을 그대로 기사화 해주는 <브레이크뉴스>는 역시 객관성과 중립을 지켜야 할 언론매체인가, DTV대책위의 대변지인가? 김철관은 브레이크뉴스의 논설위원이다. 논설위원이 1년 동안 평균 4.6일에 한번 꼴로 오로지 하나의 주제만을 특정한 방향으로 글을 썼을 때, 독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일까? 편집진에게 주의를 환기시켰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기에 이렇게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하나만 예를 들어보자. 작년 8월28일자 기사 제목이 ‘아날로그보다 못한 미국식 DTV를 쓰라니’였다. 이것은 박병완 DTV 대책위원장이 한 말이다. 박 위원장이야 그리 주장할 수 있겠지만, 기자가 이것을 그대로 기사화하고 인용부호도 없이 제목으로까지 뽑아도 되는가? 김철관은 이 주장에 대해 반대측 의견을 들어보았는지, 또 진실로 미국식 DTV가 아날로그보다 못한지 객관적으로 검증을 했을까? 김철관 기자가 쓴 DTV관련 기사란 것이 대부분 이런 식이다.  

나의 인내를 무너뜨린 것은 2월5일자 ‘DTV 유럽식, 이동수신 고화질 양립 가능’이란 글이다. 기사의 관련 내용은 이렇게 돼 있다. “정통부와 방송기술인 사이의 쟁점이 됐던 유럽방식의 고화질 이동수신 양립문제는 양립이 가능하다고 확인됐다. 공동보고서가 ‘고화질과 이동수신의 양립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를 위해서는 현실성 및 필요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적시했다.” 그래서 “유럽방식은 고화질과 이동수신이 동시에 가능하지 않다”는 정통부 주장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공동보고서란, 미국식이냐 유럽식이냐의 해묵은 논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양측 관계자들이 작년 연말 25일간 미국과 유럽, 호주, 대만 등 해외시찰을 하고 돌아와 내놓은 보고서를 말한다. 이 해외시찰은 사실 코미디였다. 디지털TV로 말하면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다. 다른 나라들이 우리나라로 시찰을 와야 할 일이다. 당연히 가서 배울 게 없으니 논쟁은 평행선을 달리게 되어 있었다. 그러니 티격태격 싸우며 서로의 입장만 확인하고 돌아온 것이다. 어렵사리 나온 보고서가 두루뭉실한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사정이 이러할진대 보고서의 내용을 근거로 확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철관은 ‘DTV 유럽식, 이동수신 고화질 양립 가능’이라고 하는 매우 단정적인 제목의 기사를 올린 것이다. 이게 사실이라면 더 이상의 논란은 없다. KBS가 다시 비교시험을 할 이유도 없다. 정통부도 더 이상 버틸 재간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기사의 내용을 보면 당장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라고 돼 있다. 현실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말이 무슨 뜻인가? 이론상으로만 가능하다는 얘기 아닌가? 김철관은 이를 무시하고 정통부 주장까지 거짓으로 판정을 내렸다. 김철관은 그렇게 이 사안에 대해 자신이 만만한가?

나는 이 사안에 대해 어떤 주장을 하거나 누구와 논쟁을 하고 싶지 않다. 다만 기자와 언론의 태도를 지적하는 것이다. 언론은 찬반양론이 자유롭게 교환되는 공론장이어야 하며, 기자는 그 과정에서 공정한 관리자여야 한다. 기자는 또한 주관을 가질 수는 있으나 사적인 관계에 의해 편향되지 않도록 객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그럴 소양과 의향이 없으면 기자라는 이름으로 글을 써서는 안 된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4/02/08 [08:21]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