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재근의 더나은 세상으로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썰렁한 <하땅사>, 독한 설정이면 웃기나?
[하재근 칼럼] 사회의 단면, 인간의 단면을 통렬하게 묘사하는 프로돼야
 
하재근   기사입력  2009/10/12 [17:34]
MBC의 새 개그프로그램 <하땅사>가 드디어 공개됐다. <개그야>가 참담하게 종영된 이후 비장한 각오로 웃겨주겠다고 해서 관심을 모았던 프로그램이다.  

모습을 드러낸 <하땅사>는 물량공세 버라이어티와 실시간 성적공개라는 독한 설정을 섞은 포맷이었다. 이경실, 박미선, 지상렬 등이 MC로 가세하고 스튜디오에 수많은 개그맨들이 앉아있는 대규모 버라이어티로서, 그 자리에서 바로 승패가 갈리고 폐지코너까지 결정되는 비정함이 특징이었다는 뜻이다.  

확실히 고민은 많이 한 것 같다. 투자도 많이 한 것 같다. 그렇다면 웃길 수 있을까? 유감스럽지만, 현재로선 부정적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스튜디오에서 MC들이 대화를 나누며 개그 코너를 소개하고, 현장에서 관객으로서 리액션을 보여준다는 설정은 <코미디쇼 희희낙락>에서 이미 시도했었다. <하땅사>는 그것을 더욱 대규모로 키웠을 뿐이다. 관객들이 개그의 성적을 그 자리에서 매긴다는 설정도 <코미디쇼 희희낙락>에서 이미 선보였었다.  

명절 특집 이벤트의 기본적인 포맷이기도 하다. 연예인들이 MC들이 사회를 보는 가운데 스튜디오에서 대결을 펼치는 모습은 명절마다 볼 수 있는 익숙한 광경인 것이다. 이런 식의 구도가 코미디 프로그램으로서 웃기는 데 별로 도움이 안 된다는 건 <코미디쇼 희희낙락>에서 증명됐다고 할 수 있겠다.  

언제나 그렇듯이 중요한 건 본질이다. <하땅사>는 개그 코미디 프로그램이다. 예능 버라이어티적 설정이 어떻게 되든, 개그 코미디 프로그램이라는 본질이 살아야 MBC 개그 프로그램이 산다. 그런데 대결 버라이어티 구도로 진행되는 형식은 본질을 깎아먹을 가능성이 있다.  
 
▲ <개그야>의 후속으로 지난 11일 첫 방송한 MBC <하땅사>     © iMBC

시청자가 각각의 코너에 몰입해야 웃음의 조건이 형성된다. 그런데 코너 사이사이에 스튜디오 대결이 끼어들면 몰입이 끊기게 된다. 두 팀이 자기들 것이 더 웃기다며 코너를 소개하는 것도 문제다. 이러면 보는 사람이 심사위원의 자세가 된다. 몰입이 아니라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평가는 웃음의 적이다.  

단판에 결정되는 대결의 구조상 각 코너들이 재치와 자극성 위주로 짜일 가능성이 높은 것도 문제다. 긴 호흡으로 이어지는 ‘이야기’가 나올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이다. 아무리 웃긴 사람이라도 재치와 자극성만으로 계속 웃길 수는 없다. 하나의 이야기가 형성되고 그 속에서 캐릭터들이 살아나야 매순간 터지는 웃음이 없이도 몰입이 이어질 수 있다. 짧게 짧게 끊어가는 대결 버라이어티 구도로는 이야기 형성이 힘들다.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는 새로운 시도라며 내레이션을 선보였었다. 그 시도는 처절한 실패로 끝났다. 중간중간에 끼어드는 내레이션이 이야기에 대한 몰입을 방해했기 때문이다. <일요일일요일밤에>의 <대망>도 PD가 직접 끼어들었다가 실패했었다. 역시 몰입을 방해했기 때문이다. <하땅사>의 구도도 이런 식으로 몰입을 방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MBC는 그동안 일요일 예능 재앙을 겪으며 새로운 코너를 계속 선보여 왔다. 대체로 이 코너들에선 대규모라는 것과 독하다는 특징이 나타났었다. 유명 MC들이 대거 투입돼 그야말로 ‘개고생’하는 버라이어티라든가, 처음부터 끝까지 달려대는 <노다지>같은 것을 계속 기획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유명 연예인들이 단체로 나와 극단적인 무언가를 한다고 해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건 아니다. 규모를 키우고 설정을 극단화하는 데에만 매달리는 건 너무 안일하다. 이번에 <하땅사>도 그렇다. 아주 많은 개그맨들을 등장시키고 현장에서 폐지코너를 선정한다는 독한 설정을 승부수로 띄웠지만, 그런 것들은 웃기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거나 심지어는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오히려 방해될 가능성까지 있다. 
 
다시 강조하건대 중요한 것은 본질이다. <하땅사>의 경우는 개그 코미디 프로그램이므로 개그 코너가 살아야 한다. 외형적인 설정은 그 다음 문제일 뿐이다.  

<개그야>가 망한 건 공개코미디라는 설정 때문이 아니었다. 공개코미디라는 설정 자체가 문제라면 <개그콘서트>는 왜 승승장구한다는 말인가? 그러므로 MBC가 지금 고민해야 할 것은 설정이 아니다. <개그야>는 개그 코너의 빈약함 때문에 망했다. <개그콘서트>와 확연히 대비되는 엉성함이었다. 따라서 <하땅사>가 살기 위해선 코너 자체에 집중해야 한다. 대결 구도라든가, 버라이어티적 설정, 현장에서 폐지코너를 결정하는 것 등으론 <하땅사>를 살릴 수 없다.  

<개그콘서트>는 우리 사회, 우리 삶에서 웃음을 길어 올린다. ‘분장실의 강선생님’도 그렇고, ‘소비자 고발’이라든가 요즘 ‘남보원’도 그렇다. 모두에게 ‘아 맞아 정말 그래’라는 공감을 느끼게 하면서 통렬한 웃음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반면에 <개그야>는 재치나 패러디에만 기댔다가 실패했다. 모습을 드러낸 <하땅사>도 재치 경연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설정만 바뀌었지 코너 자체는 <개그야>와 크게 다를 것이 없는 셈이다. 
 
지금처럼 스튜디오 재치 경연장으로만 이어진다면 <하땅사>의 미래는 어둡다. 보는 이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코너를 짜는 것에 에너지를 집중해야 한다. 사회의 단면, 인간의 단면을 통렬하게 묘사하는 코너들만 나온다면, 설정이야 어떻든 <하땅사>는 살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설정을 아무리 바꿔도 불길할 뿐이다.
* 필자는 문화평론가이며 <학벌없는사회> 사무처장을 역임했습니다. 블로그는 http://ooljiana.tistory.com, 저서에 [서울대학교 학생선발지침 - 자유화 파탄, 대학 평준화로 뒤집기]등이 있습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9/10/12 [17:34]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