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영화 '말모이', 조선팔도의 사투리들은 왜 모았나?
엄유나 감독의 탄탄한 연출과 각본, 유해진과 윤계상 연기 대결 볼만해
 
김철관   기사입력  2019/02/04 [11:41]
▲ 영화 리플릿     ©


현재 절찬리에 상영되고 있는 영화 말모이’(감독 엄유나)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우리말과 글의 소중함에 대해 느낄 것이다.

 

이런 의미를 잘 전달하기 위한 배우 유해진(김판수 역)과 윤계상(류정환역)의 재미와 갈등적 연기도 눈여겨볼만하다.

 

말모이는 사전을 뜻하는 우리 순수한 말이다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사전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조선어학회가 우리말 사전을 만들기 위해 일제 감시를 피해 전국의 우리말(사투리)를 모았던 비밀 작전의 이름이기도 하다.

 

당시 배경은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이 사망한 이후우리말사용이 금지된 1940년대의 이야기이다창씨개명 등 일제의 탄압이 극하게 달할 때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한 조선어학회에서 일어난 사건을 영화화했다.

 

일하던 한 경성의 극장에서 해고돼 백수가 된 김판수는 아내 없이 두 자녀를 키운 가장이다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소매치기를 선택한다그와 의기투합한 사회 동료들과 경성역 대합실에서 기회를 보다 말끔한 양복을 입고 밖으로 나온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을 발견하고 그의 가방을 훔쳐 달아난다.

 

가방에는 돈이 아닌 사전을 만드는데 사용할 중요한 자료였고결국 김판수의 실수로 집주소를 알아낸 류정환은 그의 집을 찾아가 가방을 돼 찾는다그리고 조선어학회 사무실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들에게 이런 해괴한 일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이 이야기를 듣던 조선어학회 동료 조갑윤(김홍파)는 과거 김판수에게 신세를 진 사람이었다그리고 그는 심부름을 할 사람으로 김판수를 채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다른 동료들도 다 동의를 하지만 대표 류정환은 말도 안 된 소리라고 강변한다가방을 훔쳐 달아난 사람이니 그의 말이 이해될 만하다.

 

하지만 대표를 제외한 모든 동료들이 원하자 할 수 없이 김판수를 심부름꾼으로 채용하게 된다하지만 김판수는 대표 류정환과 매일매일 티격태격하고그러는 한편 정 또한 쌓이게 된다.

 

일제 강점기 탄압은 조선어학회도 외에 마수를 뻗쳤다우리말과 글을 포기할 수 없었던 직원들은 조선팔도 사투리를 모으고 우리말 사전을 제작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는데일본 순사들이 이를 알아차리면서 위기에 처한다.

 

영화를 보면서 주시경 선생이 떠올랐다. 1910년 경술국치 이전나라가 기울고 있던 대한제국 시절 주시경 선생은 "나라 말이 오르면 나라도 오른다"는 말로 우리 말글을 지키려고 애썼다하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고 결국 1910년 한일병탄조약이 체결됐다이대로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공동대표은 한 인터넷 매체 기고를 통해 주시경 선생에 대해 밝힌 말이 있다.

 

주시경 선생은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뒤에도 그 꿈을 접지 않고 더 열심히 우리 말글 보급에 나섰다한글책 보따리를 들고 여러 학교를 다녔다그래서 붙은 별명이 주보따리이었다일제 치하 일본말이 국어가 되니 우리말을 국어라고 부를 수 없어 한말’, ‘한글이란 이름을 지어 부른 것이 유래가 돼 지금까지 한글로 전해지고 있다대한제국 시절 주시경 선생은 우리말 사전 말모이를 만들었다.“

 

말모이를 보면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이었던 1963년 일어난 문법 파동이 떠 오른다문교부 국어사정위원회 주최로 전국에 다양하게 난립했던 문법 용어를 하나로 만들기 위해 표결을 함으로써 발생한 사건이다.

 

문법파와 말본파의 주장이 팽팽할 때였다문법파는 문법동사명사조사 등 일본식 한자어로 된 문법용어를 강조했고말본파는 말본움직씨이름씨토씨 등 순우리말로 된 문법 용어를 주장했다. 63년 7월 25일 표결결과 8대 7이었다한 표차로 문법파의 승리였다.

 

이후 표결에 진 말본파는 치열한 반대 운동을 전개한다이를 역사는 '문법 파동'이라고 일컫는다당시 말본파는 우리 순수말로 사전을 말광이라고 했다. ‘말의 창고라는 의미인 듯하다순수 우리말은 현재 우리 교육현장에서 완전히 사라진 아쉬움도 있다.

 

심부름꾼 김판수는 갈등을 빚는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에게 "사람이 없이 산다고 그렇게 막말 하는 게 아니야"라고 말한다이 대사가 가슴을 찡하게 했다.

 

말모이’ 감독 엄유나는 영화라 통해 꿈을 이루어가는 사람들의 온기가 전해지기를험한 세상을 가까스로 혼자 버티고 있는 이들에게 작은 위로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영화 말모이를 두고 역사를 이용한 오락 상업영화라는 비판한다그래도 우리말과 글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일조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9/02/04 [11:41]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

영화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