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순의 문학과 여성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여성도 군에 가야 한다는 사람은 솔직해져라
[정문순 칼럼] 병역 역차별론과 여군 성폭력이 존재하는 세상
 
정문순   기사입력  2021/06/27 [13:55]

내 딸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신문에 힘을 보태주세요.”

 

병역 기사를 찾다 방문한 여성신문 누리집의 후원인 모집 문구를 보자 어딘지 마음에 걸렸다. 이 껄끄러운 기분은 내 딸이라는 낱말에서 나온다. 남의 딸이 아닌 내 딸. 요즘은 자기 자식을 호명할 때 이름을 부르지 않고 딸이나 아들이 세상에 하나뿐인 것처럼 !”, “아들!”로 부르는 이상한 호칭이 늘어나는 데서 알 수 있듯 자식을 세상의 전부로 착각하는 부모라면 이런 광고 전략은 먹혀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성불평등 문제를 느끼지 못하는 남자라도 자기 딸의 미래를 생각하면 불평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말도 있다고 하니,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이 현실을 깨치는 힘이 되는 것도 같다. 그러나 가족 사랑이 아무리 깊은들 현실을 바꾸는 힘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딸이 안쓰러운 부모에게 아들이 있다고 하면 아들 사랑도 당연하다. 그 아들은 딸이라면 안해도 되는 2년의 군 복무를 해야 한다. 쇠도 녹일 2년의 청춘. 아깝고 억울하다. 여성에게는 특혜이고 남성에게는 불이익이 아닌가? 남자가 차별을 당한다는 생각은 아들 가진 부모뿐 아니라 군대에 가야 하는 당사자들 특히 20대 남성들에게 퍼져 있는 듯한데 이는 예전에는 찾아보기 힘든 일이었다. 여성도 군에 가야 한다는 주장도 군가산점 위헌 판결 이후에 등장하더니 이제는 남성 역차별을 주장하는 근거로 떡 하니 자리를 잡았다.

 

2015년 고용노동부 통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임금 총액이 높게 나타난 연령대가 딱 하나 있다. 20대 초반의 남성 임금을 100으로 볼 경우 같은 연령대 여성 임금은 100.6이었다. 여성이 취업을 준비하거나 시작하는 시기에 병영 생활을 하거나 군복무 전후에 안정적인 직장을 잡지 못하는 20대 초반 남성의 임금에만 국한하면 남자들의 역차별 주장은 근거가 있는 듯하다. 그러나 남성 대비 여성 임금은 20대 후반에 곧바로 역전하여 연령대가 높아갈수록 떨어지더니 50대 후반에는 48.3을 찍었다. ‘여사님으로 불리며 돌봄, 청소, 대면 서비스 현장을 누비는 이 나이대의 여성들은 또래 남성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임금을 받고 있지만, 제 눈에 보고 싶은 것만 보려고 하는 이들에게는 여자들이 남자의 군 복무 덕에 팔자 좋게 살거나 남자가 일터에서 전쟁하듯 일하는 동안 하릴없이 밥값보다 비싼 커피집에서 수다로 시간 때운다는 인식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기울어진 운동장의 추 눈금을 한 칸이나마 옮겨놨더니 되레 불공정하다고 난리 치는 것이, 여성 군복무를 주장하는 이들이 생각하는 공정론의 실상이다. 나는 여자도 군에 가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지만 그런 목소리를 막고 싶지는 않으며 법이 만들어져도 반대할 생각은 없다. 그러나 여성이 군에 가야 하는 일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직업 군인 여성들이 성폭력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세상은 남성이 여성을 동료로 인정하지 않으며 특히 군대는 자신들만의 전유물로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 자들에게 여성 군인은 자신들의 특권을 비집고 들어오는 침입자일 뿐이다.

 

직장 성폭력이 그렇듯이 군대 성폭력은 여성을 군대 바깥으로 밀어내려는 구조적인 전략으로 보아야 한다. 여자도 군에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자들의 진짜 의도는 차별을 벗어나려는 여성의 입을 다물게 하려면 군대 말을 끄집어내는 것만큼 효과적인 것이 없다고 믿는 데 있다. 여성을 동료로 인정할 생각도 없으면서 여자도 군에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자기기만이나 거짓말이 필요했을 뿐이다. 

 

특권을 누리는 자가 되레 차별을 받는다고 착각하는 것은 현실 오도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빗금이 그어지고 있는 사회상을 보여준다. 여자들이 남자들이 바라는 대로 찍소리도 내지 못하던 시절에는 역차별 말은 나오지 않았으니, 작금의 상황은 좋은 조짐이고 희망을 기대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물론 그 과정이 지난하고 고통스럽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겠다. 어쨌든 미래는 나아질까? 그 미래는 내 딸부터가 아니라 나도 누려야 하는 것이다.

 

* <경남도민일보>에 게재된 칼럼을 보완한 글입니다.   

* <대자보> 편집위원, 문학평론가입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1/06/27 [13:55]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