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대형 '공공부문사유화 저지 공동행동' 단체 출범 |
|
200여 단체, 물 의료 교육 등 이명박 정부 공공부문 민영화 저지 선언 |
|
김철관 |
|
ㅣ 기사입력 |
2008/06/24 [14:06] |
|
물, 의료, 교육, 에너지, 언론 등 공공부문 사유화저지를 위한 메가톤급 연합단체가 탄생했다.
물 사유화 저지 공동행동, 미디어행동, 보건의료단체연합, 범국민교육연대, 에너지노동사회 네트워크, 입시폐지 대학평준화범국민운동본부, 한미 FTA 저지교수학술공동대책위원회 등 각 부문별 연합단체들은 24일 오전 서울 시청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공부문 사유화 저지 공동행동’을 출범시켰다.
|
▲ 공공부문 사유화저지 공동행동 기자회견 모습 © 김철관 | 공공부문 사유화저지 공동행동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공공부문 사유화는 공기업에 그치지 않고, 공영방송 민영화, 신문방송 겸영, 금산분리 폐지 등 언론, 금융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국립대학법인화, 대학입시자율화 등 교육부문과 당연지정제 폐지, 민영의보 활성화, 영리병원 허용 등 의료부문에 이르기까지 대중들의 삶의 영역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가 공공부문 사유화를 추진하는 배경은 결국 소수 독점자본을 위해 국민 대다수의 보편적 권리를 포기한 것“이라면서 ”나아가 공기업 민영화 등으로 국가 중심의 거대 지주회사 설립을 통해 금융시장화를 확대하고, 국민생존권을 담보로 해 국제적 투기시장에 뛰어드는 위험천만한 모험을 하려고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제 물, 전기, 가스, 방송언론, 교육, 의료, 금융 등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활동해 왔던 우리는 이제 하나의 목소리로 발맞춰 나가기로 했다”면서 “공적 자원과 공공부문은 말 그대로 만인의 것이다. 공공의 것이기에 보편적 권리가 작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표 발언을 한 김영호 미디어행동 공동대표는 “최근 이명박 정부가 일부 공공부문에 대한 사유화 중단을 선언했지만 말뿐인 것으로 지방자치단체로 사업을 이관해 지속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공기업 선진화라는 명분으로 민간경영기법을 도입해 공공성을 축소시키는 기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한 공공부문 사유화저지 공동행동 참여단체인 미디어행동은 언론노조, 언론연대, 바지연, 인기협 등 46개 전국 언론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신자유주의 반대 교육시장화저지 교육 공공성 실현을 위한 범국민교육연대는 민교협, 스크린쿼터문화연대 등 46개 시민사화단체가, 물 사유화 저지 사회공공성강화 공동행동은 노동자의 힘, 녹색미래, 전국공무원노조 등 28개 시민사회단체가, 에너지사회노동네트워크는 환경운동연합, 발전노조 등 10개 단체가,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 연합은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등 5개 단체가 소속돼 있다.
또 입시폐지 대학평준화국민운동본부는 전국에서 3000여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고, 한미 FTA저지 교수학술공동대책위원회는 노동과학사회연구소, 노동조합기업경영연구소 등 32개 시민시회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
|
|
|
|
|
|
기사입력: 2008/06/24 [14:06] ⓒ 대자보 |
|
|
신자유주의 관련기사목록
- 반 신자유주의가 우리의 살길이다.2
- '반 신자유주의'가 우리의 살길이다
- 진보의 비극, 복지노선 담을 그릇 없어
- 복지없는 '정치적'인 한국복지, 필연이다!
- '美 신자유주의' 몰락과 '베이징 컨센서스'의 위력
- '다시' 발전을 말하는 건 "정치의 문제"
- '월스트리트'의 Money game, 미국은 추락하는가?
- 초대형 '공공부문사유화 저지 공동행동' 단체 출범
- 복지국가 건설은 '정치적인 것의 귀환'
- 정부의 민영화 공세, 공공성 혁신으로 대응해야
- 사민주의 노동시장정책 핵심은 '참여'
- "공공부문 사유화 저지, 연대 투쟁으로 뚫자"
- 거시경제학의 지혜와 한국경제의 진상
- 사회지리학, 불평등한 공간 평등하게 만든다
- 노홍철과 숭례문 피습사태는 위험사회의 징후
- 한계 이른 신자유주의, 대안적 국가연대 필요
- 임종인 "'김앤장', 법망 피해 이익 극대화하고 있어"
- 발전국가론, 국가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한가?
- 한국형 ‘신자유주의’ 득세, 어떻게 봐야 할까?
- ‘문자해고’의 원조, 재벌기업의 홍위병 ‘김앤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