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영사정” 복원 준공식의 홀대와 자화자찬
[진단] 경기 중부 300년 된 문화재, 고양시 지정 으뜸 공로자 외면
 
김영조   기사입력  2014/09/03 [15:20]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무민로 39길 89(대자동 영사정)에서 9월 2일 경기도 지정문화재 제 157호로 지정된 <영사정 복원 준공식>이 있었다. 영사정(永思亭)은 ‘영원히 잊지 않고 생각한다.’라는 뜻으로 숙종임금의 계비인 인원왕후의 아버지 김주신이 살던 집이다. 김주신이 아버지 김일진(金一振)의 재사(齋舍)겸 살림집으로 300여 년 전인 1709년에 이 집을 지었다. 이 집은 조선 후기 살림집 연구에 있어 중요한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고택으로 앞으로 역사체험 공간으로 시민에게 개방된다.

 

이날 준공식자리에서 문화재 지정에 큰 공을 세운 경주김씨의정공파 종중 김덕경 대표는 "내가 태어나서 수십 년 살던 이곳이 다 쓰러져 갔지만 문화재가 되지 못해서 가슴이 아팠었다. 그런데 이렇게 번듯하게 문화재가 되어 감개무량하다.  이제 조상들을 뵐 면목이 선다."고 소감을 말했다.

 

▲ 영사정 본원 준공식 테이프 컷팅 장면     © 김영조

 

▲ 영사정이 문화재가 되기까지 큰 공을 세운 사람들(왼쪽부터 한겨레건축사사무소 최우성 소장, 경주김씨의정공파 종중 김덕경 대표, 그 아우 김순경 선생)     © 김영조


그러나 이러한 영사정은 문화재로 지정되기까지 말 못할 우여곡절을 겪어야했다. 영사정 복원에 관해 고양시는 "역사적 정통성을 확립하고 시민의 역사체험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역 문화재를 복원했다.”고 말하고 있으나 사실 고양시는 이 건축물의 문화재적 가치를 모르고 ‘소유주의 문화재 지정 신청’을 몇 번이나 반려했던 기관이다. 이러한 고양시의 일천한 문화재 의식으로 인해 이 귀중한 건축물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뻔한 것이었음을 영사정 복원 준공을 맞아 되짚어 보지 않을 수 없다. 바로 4년 전 일이다.

2010년 5월 5일, 기자는 인터넷신문 <대자보>에 “사라질 뻔한 300년 된 고택 영사정(永思亭)을 구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쓴 적이 있다. 바로 고양시와 경기도 문화재전문위원 들이 “영사정의 문화재 지정 신청을 퇴짜” 놓은 사실과 경주김씨의정공파 종중의 문화재 지정 노력과 문화재 지정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최우성 소장에 대해 보도 한 것이었다.

고양시와 경기도 문화재 당국이 “영사정의 문화재적 가치를 일축하고 퇴짜”를 놓는 바람에 집주인인 경주김씨의정공파 종중(대표 김덕경)에서는 조상의 숨결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이 집의 문화재 지정 노력을 포기하고 하루가 다르게 허물어져가는 집을 더는 두고 볼 수 없어 문중 회의 결과 헐어 버리고 새집으로 짓기로 결정했다. 2009년 1월 이야기다. 그해 봄이 되면 이 귀중한 문화재는 헐려버릴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였던 것이다.

 

▲ 영사정 처음 발견 당시 전경     © 김영조

 

▲ 번듯하게 준공된 영사정 전경     © 김영조


이러한 상황에서 영사정이 구사일생으로 살아남게 된 것은 한 건축사의 집요한 ‘영사정 구출 투쟁’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겨레건축연구소 최우성 소장이 그 주인공으로 그는 자그마치 2009년 2월 8일부터 2010년 3월 26일 경기도 문화재지정(제157호)까지 장장 400여 일 동안 관공서와 “영사정의 문화재 지정”을 놓고 싸웠다. 하마터면 한줌의 땔감으로 사라질 뻔한 ‘영사정’은 이러한 한 건축가의 투쟁 끝에 복원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영사정 복원 투쟁 과정을 지켜본 기자도 어제 9월 2일 오후 2시 현지의 복원 준공식 현장에 반갑게 달려갔다. 그러나 고양시장(최성)을 비롯한 100여명이 준공식에 참여하여 성대하게 치른 준공식은 “형식적인 준공식”외에 “영사정이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경위”는 일언반구도 없었다.

더욱 놀란 것은, 영사정을 구하고자 소통불통인 관리들과 싸워야했던 장본인의 이름은 싹 빼버린 채 일부 엉뚱한 사람들에게도 감사패를 주고 준공식은 싱겁게 끝이 나버렸다. 특히 이날 고양시 문화재전문위원이라는 사람은 “고양시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문화건물”이라며 극찬했다. 하지만 기자가 듣기로는 이 전문위원은 “영사정은 문화재적 가치가 없다”고 신청서류를 퇴짜 놓는데 일조한 사람인 걸로 확인된다. 그런데 가치가 없는 집으로 헐어버려도 상관없다는 태도를 지녔던 사람이 이제 다시 복원된 그 집에서 아무런 해명 없이 문화재의 가치를 논하는 어이없는 사태를 보면서 답답한 마음이 들었다.

 

▲ 처음 발견했을 당시의 다 쓰러져가는 영사전 안     © 김영조

 

▲ 다 쓰러져가던 영사정은 저렇게 번듯하게 복원되었다.     © 김영조

 

▲ 발견될 당시 상량문에는 영사정을 지은 날짜가 분명히 기록되어 있었다.     © 김영조


더 기가 막힌 것은 준공식이 공무원들과 정치인들의 자화자찬 자리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정말 영사정의 가치를 확인하고 그 가치를 제대로 알려내는 잔치를 만들려고 했다면 그 가치를 처음 확인하고 문화재로 지정될 수 있도록 고군분투한 최우성 소장에 대한 정당한 예우가 있었어야 했다. 완벽하게 해내지 못한 공사 관계자들에게까지 감사패를 주면서 최우성 소장은 외면하는 그들의 뻔뻔스러움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영사정은 복원 준공되었다. 그러나 이 건물이 살아남아 오늘 우리에게 복원된 모습이나마 보여줄 수 있게 만든 으뜸 공로자 최우성 소장은 영사정 복원 준공식 한쪽에서 고양시 관계자들의 자화자찬하는 모습을 바라다 보다 말없이 자리를 떴다. 이런 상황은 어쩌면 현재 우리나라 문화재 현장의 부끄러운 모습을 대변하는 것이 아닐까?    

[관련기사] 사라질 뻔한 300년 된 고택 영사정(永思亭)을 구하다
 

▲ 발견당시 다쓰러져가던 영사정 내부     © 김영조

 

▲ 준공된 영사정 내부     © 김영조

 

 

 
영사정의 건축학적 가치를 처음 확인한 최우성 소장의 견해
    
▲ 한겨레건축사사무소 최우성 소장    ©김영조

2009년 1월 추운 어느 날, 나는 대자동에 있는 김주신 경은부원군의 신도비를 찾았다가 폐가가 다 되었던 영사정을 만나게 되었다. 처음 영사정을 보았을 때 영사정은 300년을 의연하게 지탱해온 문화재적 건축물로서의 고고함이나 품격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고, 기둥은 기울고 벽은 헐고 처마는 처져 내리고, 기와에서는 물이 줄줄 새고 있었으며, 차마 안으로 들어가 집의 구조와 내부공간을 살피기에도 위협을 느낄 정도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런 위험한 지경이었던 영사정이었으나 구석구석 자세히 살펴보니 그동안 국내의 여러 민가들에서 보았던 것들 보다 훨씬 옛날기법을 변형이 안 된 채 간직한 것들이 눈에 들었고, 기울어가는 기둥과 벽체사이에 흙이 떨어져서 들어난 벽 틈으로는 인방과 인방사이에 중깃을 세우고 중깃 사이에 눌외와 설외를 집으로 새끼를 꼰 외역기와 칸칸에 설치한 창틀의 짜맞춤기법들이 예사롭지 않았다.
    
기둥과 벽체사이에 인방과 창틀 목재들은 하나하나 꼼꼼하게 짜맞추었고, 처마밑으로 달아낸 신위를 모셨던 벽감의 구성은 가는 부재지만 자연스럽게 굽은 나무를 그대로 받쳐서 구조적인 보강을 하였다. 부엌과 곳간을 구분한 목재판벽은 당시 나무를 아주 귀하게 여겼던 선조들의 절약정신과 숙달된 기술로 한쪽은 톱으로 썰었던 흔적이 그대로 나타나있고, 반대편은 대자귀질해서 판자를 만들었던 장인의 솜씨가 생생하게 살아있었다.
    
또, 영사정의 안채 마루에는 2칸으로 오랜 세월을 살아오면서도 변형이 없이 본래 지어진 당시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그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청마루에서 뒷마당으로 나가는 문이 2짝판문이었는데, 그 판문의 사이에는 사람이 드나들면 무척이나 거추장스러울 기둥이 서있는 것이었다. 지어진 지 300년이고, 최근까지 그 후손들이 이집에서 생활을 하였기에 그 거추장스러움을 개선한다고 가운데 기둥도 없애고 문짝도 크게 개조 했더라면 그 원형이 사라지고 말았을 것인데 원형을 지금까지 그대로 간직해온 것이 귀중한 문화재적인 가치가 크게 느껴진다.
    
대청마루의 앞에는 중부지방의 다른 민가 집에서는 볼 수 없는 들어열개 문이 있어 대청을 제례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인다. 대개 한국의 민가에서는 대청마루에는 문을 설치하지 않아 안방과 건너방을 연결하고 거실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시각적으로 집의 분위기를 밝고 개방감이 들게도 한다.
    
영사정의 건축적 특징
    
1. 건축연대가 확실한 300년 된 경기 중부지방의 재사가옥이다. (재사는 재실보다 그 격이 높은 건물)
    
2. 기단이 민가형식 중에서는 드물게 안채 주변기간을  화강석 장방형기단석을 둘렀다.
    
3. 부엌과 곳간의 사이에 있는 판벽의 경우 부엌쪽은 톱질 자욱이 선명하게 남아있고, 곳간쪽은 겉껍질을 다듬어 판판하게 한 대자귀질이 잘 남아있다.
    
4. 대청의 뒷문은 2짝판문인데 가운데 문설주가 설치된 특이한 구조이다.(영쌍창이라고 부름) 이는 조선 중기 이후로는 보기 드문 구조이다.
    
5. 기둥과 기둥사이에 설치한 문틀과 인방의 짜맞춤이 마치 가구를 짜맞춘 듯 정밀하게 연귀맞춤으로 되어있었다.
    
4. 벽체를 구성하는 기법이 중깃과 설외 눌외가 촘촘히 잘 되었고, 벽에는  볏집, 동물의 털 등을 함께 섞어서 흙벽을 발랐던 흔적이 잘 보였다.
    
5. 지붕을 구성하는 기법이 안채의 오른쪽 익랑은 평서까래를 구성한 위에 적심목으로 채운뒤에 다시 적심도리를 올려 지붕을 구성하고 외부마감인 박공을 설치하였다.
    
복원 뒤 아쉬운점
    
1. 전체적으로 형태는 되살아났으나, 옛부재들을 더 많이 살려 썼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2. 특히 기둥과 도리부재의 교체도 아쉽지만, 방으로 출입하는 문들이 하나도 옛모습이 없이 다 교체되었다는 것이 못내 아쉽다. 띠살문을 살리기는 어려웠겠지만, 부엌이나 창고 대청뒷편에 있었던 판문은 어렵더라도 몇 개는 살렸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3 서까래 등이 자연스럽게 굽어있던 옛 모습과는 달리 너무도 천편일률적으로 직선화되어 옛정취가 안보였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4/09/03 [15:20]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