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우리말 으뜸 헤살꾼에 오세훈 서울시장 뽑혀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2024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알려
 
리대로   기사입력  2024/10/07 [06:03]

  우리 한글은 온 누리에서 가장 훌륭한 글자인데 500년 동안 제대로 쓰지 않았다. 1945년 광복 뒤부터 한글학회가 앞장서 한글로 공문서를 쓰고 배움 책도 만들게 하여 한글이 쓰이기 시작했다. 온 국민이 우리말 말글살이로 모두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되었다. 그 바탕으로 국민 수준이 높아져서 나라가 빨리 일어났다. 오로지 우리말을 한글로 적는 말글살이 덕이다. 그런데 아직도 일본식 한자말이 우리말처럼 쓰이는데다가, 요즘엔 미국말까지 마구 섞어서 쓰고 있어 나라 말글살이가 매우 어지럽다.

 

   광복 뒤부터 우리 말글살이로 우리나라가 선진국 문턱까지 올라섰으며, 우리 자주문화가 꽃펴서 ‘한류’라는 이름으로 온 누리에 뻗어나가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도시인 서울시와 부산시가 외국말을 섞어 쓰며, 제 나라 말글을 짓밟고 있다. 다른 지방 도시와 국민도 그래도 괜찮을 줄 알고 따라서 쓰기도 한다. 그러면 언론이 그 잘못을 따지고 바로잡아주어야 하는데 오히려 부채질하고 있다. 그래서 올해에 이들을 우리말 헤살꾼으로 뽑았다.

 

  그래도 세종시와 진주시 들은 우리말글을 살리고 빛내려고 애쓰고 있고 시민단체와 국민이 일본식 한자말을 버리고 우리말을 살리려고 애쓰고 있다. 농사꾼인 최한실 님은 11년 동안 우리말을 찾고 새로 낱말을 만들어 1560쪽에 이르는 “푸른배달말말집”이라는 토박이말 말모이를 냈다. 구자행 국어 선생님은 일본 한자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누리통신망에 알리고 있다. 그래서 이분들을 올해 우리말 지킴이로 뽑았다.

 

   그리고 22대 국회에서 의원 300명 가운데 298명은 한글이름패를 쓰고 있는데, 이헌승, 유영하 두 의원 이름패만 한자여서 이들을 헤살꾼으로 뽑으라는 시민들이 있다. 두 의원에게 왜 한자로 이름을 쓰고 있으며 앞으로 한글로 바꿀 생각은 없는지 국회 누리집에 있는 전자우편주소로 물었다. 두 의원 모두 전자우편은 보지도 않아, 전화를 했더니, 유영하 의원은 전화를 받지도 않고, 이헌승 의원 보좌관이 “한글로 이름을 쓰면 바르게 읽지 못하는 이가 있어 한자로 이름을 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자로 이름을 쓰면 오히려 읽지 못하는 국민도 있고, 더 큰 문제는 그렇게 말하는 것은 한글을 우습게 여긴다거나 또 다른 까닭이 있지만 숨기는 것으로 보였다. 두 의원이 스스로 잘못을 깨닫기 바라는 마음에 다음에 헤살꾼으로 뽑으려고 이번에는 뽑지 않았다. 

 

또한 자랑스러운 국가 유산인 한글을 살리고 빛내어 나라를 일으키자며, 한글이 태어난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에 걸었던 한글 현판을 떼고, 한자 복제현판을 원형이라고 속여 걸어둔 국가유산청을 헤살꾼으로 뽑자는 시민도 많았으나 지난해 뽑았기에 이번엔 뽑지 않았다. 

 

   우리말이 살고 빛나려면 이름부터 우리말로 짓고 한글로 적어야 하며, 우리 토박이말을 살려야 한다. 5000년 동안 쓴 우리말이 있고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우리 글자인 한글이 있는데도 우리말 한글 이름이 아닌, 한자나 영문으로 이름을 짓고 쓰는 이들이 있다. 이는 매우 잘못된 일이고, 일본 한자말과 영어로 이름을 쓰는 것은 못난 일이다. 그래서 그 잘못을 바로잡으려고 다음과 같이 올해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을 뽑아 알린다. 

 

                                  2024.10. 9.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공동대표: 고영회 김경희 리대로 박문희 이정우.

 

우리말 지킴이 5

 

1. 으뜸 지킴이 – 푸른배달말집을 낸 최한실님

 

▲ 10월 3일 정토회 강당에서 책 펴낸 잔치하는 모습(아래)과 푸른배달말집과 우리말로 쓴 ‘씨갈래’  © 리대로


  “푸른배달말집”을 낸 최한실 님은 “오늘날 우리가 배곳(학교)에서 배워 쓰는 말은 거의 모두 일본말에서 왔다. 우리말 낱말이 모자라서 말을 넉넉하게 하려고 들여다 쓴다면 다른 나라 말이라도 받아들여 써야겠는데 일본말에서 온 말이 멀쩡한 우리말을 밀어내고 안방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말을 한글 ‘왜말’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왜말로 쓰인 배움책을 보고 배워서 자꾸 쓰고 있다. 첫배곧(초등학교) 배움 책부터 모조리 다시 써야한다. “라고 힘주어 말한다.

 

    일본 한자말이 아닌 우리 토박이말을 찾아 새로 만들어 10월 3일에 정토회 강당에서 새책 잔치를 한 “푸른배달말집” 은 열한 해 앞부터 우리 말글살이를 남달리 걱정하는 김수업 교수가 앞장서고 최인호, 안상수, 주중식, 박문희, 이윤옥, 최한실님들이 함께 우리말을 살리고 빛낼 ‘배달말집’을 짓기로 하였는데, 2018년에 김수업 교수가 돌아가신 뒤 최한실님이 이어받아 여섯 해 동안 우리말을 찾아 모으고 새말을 만들어 1560쪽에 이르는 말집(사전)을 냈다. 

 

  그러나 이 말집에는 새로 만든 말보다 지난날 우리 한아비들이 쓰던 우리말이 더 많다.  우리말이 있는데도 일본 한자말을 한글로 적어 학교에서 가르치니 우리말로 알고 있던 사람들은 이 말집에 있는 우리말 낱말들이 좀 낯설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씨갈래(품사) 이름부터 모든 말을 우리말로 쓰고, 모든 낱말 풀이까지 우리말로 한 이 말집이 우리말을 살려야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읽으면 아름답고 멋있게 보일 것이다. 이 일은 나라가 할 일인데 개인이 이런 큰일을 한 것은 참으로 고마운 일이기에 함께 애쓴 분들에게 손뼉을 치며 절을 한다. 부디 많은 사람이 보고 우리말을 찾아 써서 한자말과 미국말에 몸살을 앓고 있는 우리말이 빛나게 되길 바라며 우리말 으뜸 지킴이로 뽑았다. 

 

2. 우리말글을 살리고 빛내려고 애쓰는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

 

  최민호님은 2011년 세종시 건설청장 때에 새로 생기는 그곳 마을이름, 거리이름, 학교이름 을 우리말로 지었다. 그에 따라 학교이름과 아파트이름도 우리말로 된 이름이 많다. 이 일은 우리말을 살리고 겨레 얼과 세종정신을 드높이는데 밑바탕이 되는 매우 크고 값진 일이다. 우리는 우리말과 우리 글자가 있는데도 제 말글로 이름을 짓고 적지도 않았으며 우리말글로 새말을 만들지 않고 쓰지 않았다, 오히려 일본에 나라를 빼앗겼을 때 일본 식민지 국민교육과 정책으로 길든 일본 한자말을 우리말인 줄 알고 썼다.

 

  일본 강점기에 쓰던 일본 한자말들을 우리말 한글로 바꾸어 행정, 교육, 전문용어로 쓰는 것은 매우 잘못된 것이고 빨리 우리말로 바꾸거나 만들어 써야 한다. 일본은 우리말로 된 땅이름까지 한자말로 바꾸었는데 이 또한 우리 토박이땅이름을 찾아 써야 하는데 최민호 시장이 그 실천을 하고 모범을 보였다. 그래서 한글학회에서 최민호님을 “한글을 빛낼 큰 별”이라는 감사패를 주고 그 고마움을 알렸다. 최민호 시장은 한글과 세종대왕이 태어난 서울시보다도 세종시에서 한글날 경축식을 더 뜻있고 푸짐하게 시행하고 있어 우리말 지킴이로 뽑았다.

 

▲ 최민호시장이 세종시 건설청장일 때에 세종시를 ‘한글이름 도시’로 만들겠다고 발표하는 모습(왼쪽), 올해 한글날에 세종시청사에 전시할 주시경 선생과 한글 19대 발자취 전시물 사진  © 리대로


3. 우리말글로 공원이름을 지은 조규일 진주시장 

 

  진주시는 3년 전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토박이말을 살리는 일을 하는 ‘(사)토박이말바라기’ 모임과 함께 “토박이말 공원 만들기” 사업을 시작해서 120여 곳의 공원이름 가운데 90여 곳(약 75%)을 ‘버드실공원, 따스하리공원, 숫골공원’처럼 예쁘고 아름다운 토박이말을 넣은 이름으로 바꾸었다. 이 일은 토박이말과 한글을 함께 챙기는 도시로서 좋은 본보기다. 

 

 한편 2023년에는 진주 지역 시민단체인 ‘(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 지역맞춤형 문화예술진흥 사업으로 “참고을 진주, 토박이말을 품다”라는 사업을 하면서 토박이말날과 한글날 기념식을 푸짐하게 했으며 진주 대표 잔치인 유등축제 때 ‘한글’을 주제로 한 유등을 만들었다.

 

  우리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글자인데 한글이 태어나고 500년 동안 제대로 쓰지 않다가 광복 뒤부터 우리말을 한글로 적는 말글살이를 해서 국민 수준이 높아졌고 국민과 정부가 한마음으로 뭉쳐서 선진국 문턱까지 나라를 일으켰다. 그런데 아직도 일본 식민지 국민교육으로 길든 일본 한자말에 미국말까지 섞어서 쓰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이렇게 진주시가 토박이말살리기 모임과 함께 우리말을 살리고 빛내려고 애써서 든든하다. 다른 지자체들도 본받기 바라며 널리 알리고 그 고마움을 밝힌다.

 

▲ 진주시는 2021년에 진주교육지원청, 진주기독청년회, (사)토박이말바라기 들고 “토박이말 공원 만들기 협무협약식”을 하고 90여 곳 공원이름을 우리말로 바꾸었다.  © 리대로

 

4.  어려운 한자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알려주는 구자행 선생님

 

  1945년 광복 뒤부터 학교에서 한글로 배움 책을 만들어 가르치고 공문서도 한글로 쓰면서 한글단체와 많은 국민이 애써서 이제 한글을 많이 쓰지만, 아직도 일본 식민지 국민교육에 길든 일본 한자말과 조선시대부터 쓰던 한자말이 많아서 한글은 배우기 쉬운데 한국말은 배우기 어렵다고 한다. 우리말과 한글의 힘이 높아진 때에 한자말을 본디 우리말로 바꾸는 일은 온 나라임자들이 힘을 모아 함께 하루빨리 할 일이다. 

 

▲ 구자행 선생님이 누리통신망 얼숲에 한자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올린 글과 얼굴 모습.  © 리대로


  그런데 대학 국문과 교수들은 우리말을 살리고 빛내려 하기보다 일본 한자말을 더 가르치고 쓰게 하려고 한자혼용단체까지 만들어 우리말을 못살게 한다. 그러나 사직고등학교 구자행 국어 선생님은 어려운 한자말을 쉬운 우리 터박이말로 바꾸어 써야 우리말이 살고 빛난다고 생각하고 요즘 누리통신망인 얼숲(페이스북)에 ‘유치하다’라는 한자말은 ‘철없다. 어린애 같다. ’처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3700회가 넘게 알려주고 있다. 참 잘하는 일이고 고마운 일이다. 온 국민이 구자행 선생님이 알려주는 쉬운 우리말을 많이 쓰기 바란다.

 

5. 미국 뉴욕 한글학교 김은주 선생님.

 

  김은주님은 10살 때인 1975년에 부모를 따라 미국 뉴욕으로 경제 이민을 갔다. 그곳에서 대학을 나온 뒤 미국 뉴욕 공공학교 과학교사로 있으면서 학생들에게 한국문화를 알리고 주말마다 우리 동포들을 위해 한글학교 교사로서 우리 말글을 가르치면서 그곳 신문에 한국문화를 알리는 글도 여러 번 썼다. 

 

 유럽이나 일본, 중국, 그리스, 이스라엘 들에서는 한국어가 공공학교에 정식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는데, 미국에서는 주말에 과외교육으로 가르치는 것이 안타까워 2007년부터 2011년까지는 뉴욕 한인 교사회 회장으로 한국어가 공립학교나 대학에 정식 과목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한국어진흥재단 도움을 받아 그곳 외국 교육자 50명을 한국에 모시고 와 미국 공공학교에서 한국어를 정규 과목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미국 뉴욕 공공학교 교사로 정년을 마치고도 미국 불교 사찰에서 운영하는 한글학교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치면서 방학이 되면 한국에 와서 한글단체와 함께 한글운동도 하고 있는데 10월 1일에는 광화문에 걸린 한자현판을 떼고 한글현판을 달자는 1인 시위도 했다. 김 선생은 “한국에 올 때마다 세계인들이 훌륭한 글자라고 칭찬하는 한글간판이 줄고 국적도 없는 이상한 외국말글 간판이 늘어나고 아파트이름이 온통 영어로 짓는 것을 보면 답답하고 화가 난다.”라고 말한다. 이런 분이 있기에 외국에서 한국어와 우리문화 한류가 빛난다.

 

▲ 지난 10월 1일 광화문에 한글현판을 달고 한글을 빛내자는 1인 시위를 하는 모습(왼쪽), 지난날 미국 공공학교 교사로 미국 어린이들에게 한국문화를 가르치던 김은주 선생모습(오른쪽)  © 리대로


우리말 헤살꾼 5

 

1. 으뜸 헤살꾼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는 한글과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이 태어난 곳이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지방차치단체이며 대한민국 수도로서 그 어떤 곳보다 우리말과 한글을 가장 사랑하고 바르게 써야 할 터인데 오히려 오세훈 시장이 들어선 뒤 가장 우리 말글살이를 어지럽히는 도시가 되었다. 

 

▲ 세종문화회관 옆에 있는 한글글자마당을 짓밟고 영문 구조물(왼쪽)을 만들어 놓고, 시민들에게 보내는 알림글과 누리집에는 이렇게 국어기본법을 어긴 영문으로 된 선전문이 가득하다.  © 리대로


지난해에도 시민들에게 알리는 글에 영어를 마구 섞어서 쓰고 있어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를 우리말 으뜸 헤살꾼으로 뽑아 그 잘못을 알려주었는데 고치지 않고 더 심해서 올해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우리말 으뜸 헤살꾼으로 뽑았다. 거기다가 올해에는 한글을 빛내자고 세종로공원에 만든 한글글자마당과 조선어한말글수호탑을 몰아내고 국기게양대를 세운다고도 했다. 

 

이는 국어기본법을 어긴 것이고 아주 못된 겨레말 반역 행위이다. 세종시, 울산시, 여주시 들은 말할 것이 없고 모든 지방자치단체들이 국경일인 한글날에 시장이 나서서 경축식을 하고 한글과 우리 나라말을 빛낼 행사를 성대하게 하는데 한글과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이 태어난 서울시는 기념식도 하지 않는다. 그래도 박원순 전 서울시장 때에는 한글단체와 함께 업무협약을 맺고 한글날에 한글과 우리말을 살리고 빛낼 행사를 했고, 세종대왕 나신 곳을 찾고 한글이 태어나고 자란 광화문 일대를 한글역사관광지로 꾸미는 한글마루지 사업을 했으나 오세훈 시장은 오히려 우리말글을 못살게 굴고 있다.

 

▲ 오세훈 시장은 서울에서 이렇게 세금으로 영문 선전문을 써놓고 행사를 하고 있다.   © 리대로


2. 부산시 박형준 시장과 부산 서구청 김형찬 청장 

 

  부산시 박형준 시장은 2년 전에 부산시를 영어상용도시로 만든다고 해서 우리말 으뜸 헤살꾼으로 뽑히기도 했다. 그런데 올해에는 부산시 서구청이 새로 생기는 법정동 이름을 ‘에코델타동’이라고 외국말로 짓겠다고 했다. 그렇지 않아도 부산 출신 김영삼 대통령이 영어 조기교육을 한다고 하고, 부산 출신 이명박 대통령이 영어바람을 부채질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중앙부처 이름에 ‘벤처’란 외국말을 넣어 짓고, 국가 중요 정책 이름에 ‘뉴딜’이란 외국어를 넣어서 외국말 마구 쓰기가 더 늘어났는데 부산시가 새로 생기는 법정동 이름까지 외국말로 지으면 온 나라에 영어 이름 짓기가 더 번지고 우리 말글살이가 더 어지럽게 될 것이 뻔하다.

 

  이미 부산시가 ‘마린시티, 에코델타시티, 그린스마트시티, 센텀시티, 문탠로드, 다이아몬드브릿지, 휴먼브릿지’ 들로 마을과 거리, 다리 이름을 영어로 바꾸니 부산시 서구청과 시민들도 우리말보다 영어로 이름을 지어야 집값과 땅값이 오르고 좋다고 외국말로 법정동 이를 짓겠다고 한다. 

 

외국인들이 한글을 칭찬하고 한국어를 배우려고 애쓰는 마당에 나라 안에서는 이러는 것은 우리 말글과 나라를 짓밟는 일이기에 한글단체와 부산시민단체는 그 잘못을 따지고 반대 기자회견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최현배, 김두봉, 이극로, 이윤재, 안호상 들 부산 경남 출신 분들이 우리말을 지키고 살리려고 앞장섰는데 오늘날에는 이러니 안타깝다. 제발 그러기 말기를 바라며 지난해에 이어 다시 우리말 헤살꾼으로 뽑았다.

 

▲ 한글문화단체와 부산시민단체가 부산시청 앞에서 에코델타동 이름을 취소하라는 기자회견한글문화단체와 부산시민단체가 부산시청 앞에서 에코델타동 이름을 취소하라는 기자회견  © 리대로


3. 외국말로 된 방송국 이름과 방송 프로이름들

 

  방송은 국민 말글살이 교육기관과 같다. 방송이 바른 말글살이를 하면 국민들 말글살이도 바르게 되고, 잘못된 말글을 쓰면 나라 말글살이를 어지럽힌다. 그런데 오늘날 방송국 이름과 방송 프로 제목부터 외국말로 된 것이 많다. ‘맨 인 블랙박스, SBS.나이트라인, 모닝와이드, KBS 네트워크. 다큐 인사이트. 아이 러브 스포츠, 더 시즌즈, MBC 뉴스데스크 뉴스투데이, 모닝와이드’처럼 외국말로 되어 있어 우리말보다 외국말을 더 섬기는 흐름을 만들고 있다. 우리말을 앞장서서 살려야 할 방송이 그러니 답답하다.

 

  그래서 지난해에는 방송국 이름에 !MBC‘란 영문을 쓰지 않고 ‘문화방송’이라고 우리말글을 쓰는 ‘광주문화방송’을 우리말 으뜸 지킴이로 뽑기도 했다. 다른 방송들이 본받으라고 그렇게 했는데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다른 나라말을 제 말보다 더 섬기는 못된 돌림병과 일본 식민지 국민교육으로 뿌리내린 식민지 종살이 마음보가 가득해 제 말글을 살릴 용기를 못 내는 거 같다. 

 

  세계 언어학자들은 한글은 세계 으뜸 글자라고 칭찬하고 있고 외국인들이 한국말을 배우려고 몰려들고 있다. 그런데 외국인들은 한글은 배우기 쉬운데 한국말은 어렵다고 한다. 일본 식민지 교육으로 뿌리내린 일본 한자말과 외국말을 많이 쓰고 외국말투 때문이다. 방송국들이 제 이름부터 우리말글로 쓰고 우리말 바로 쓰는 본보기를 보여주면 고맙겠다.

 

▲ 외국말로 된 방송 제목들. 이 방송 말들도 쉬운 우리말보다 어려운 한자말이 많다.  © 리대로



4. 한자를 섞어서 쓰고 제호를 한자로 쓰는 신문

 

  신문도 제 나라말글로 돈을 벌고 있으며, 잘 나라말글을 가르치는 학교 못지않게 그 나라 말글살이 잘잘못에 끼침이 크고 많다. 언론이 우리말을 살리고 바르게 쓰면 우리 말글은 살아나고 빛나지만 그렇지 않으면 우리 말글살이는 흔들린다. 그런데 지난날 신문이 일본 식민지 때에 일본 한자말을 한자로 쓰던 버릇이 남아서 일본처럼 한자를 섞어서 쓰기 때문에 우리 말글이 빛나지 못했다. 

  그래서 한글문화단체는 오랫동안 쉬운 우리말을 한글로 써달라고 호소했다. 다행히 1988년 한겨레신문이 신문 이름도 한글로 쓰고, 한글 가로쓰기로 내고 1995년에 중앙일보가 한글단체 건의를 받아들여서 신문 이름도 한글로 쓰고 한글 가로쓰기를 하면서 모든 신문들이 보도글은 한글로 가로쓰기를 하고 있다.

  그런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일본 강점기 때 쓰던 한자 제호를 아직도 쓰고 있으며, 광복 뒤에 태어난 전남일보와 전북일보와 서울대 학보는 제호를 한자로 쓰고 있다. 그리고 요즘 태어난 인터넷통신 신문은 영어로 이름을 짓고 있으며, 아직도 신문 기사에서 사람 성씨만 한자로 ‘韓 尹’처럼 한자로 쓰고 있다. 우리 한글이 배우고 쓰기 쉽기에 우리는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부터 글을 읽을 수 있어 지식과 정보를 한자를 쓰는 일본과 중국보다 빨리 얻을 수 있어 국가 경쟁력이 높다. 그러나 일본은 중학교, 중국은 고등학교까지 마쳐야 신문과 책들을 마음대로 읽을 수 있기에 우리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런데 한자를 몇 자라도 섞어서 쓰면 한자를 배우는 데 시간과 힘을 써야 하기에 한글 장점이 살지 못한다. 신문이 빨리 제호부터 한글로 쓰고 한자말을 버리고 쉬운 우리말을 한글로 적기 바란다.

   

▲ 일제 강점기부터 쓰던 한자 제호를 오늘날 한글시대에도 쓰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 리대로


5. 영어로 지은 아파트이름과 영어 간판들

 

  김영삼 정부가 세계화를 외치면서 영어 조기교육을 해서 영어로 회사이름을 짓는 바람이 일터니 이제 아파트이름, 회사이름은 말할 것이 없고 상품이름, 잡지이름, 담배이름까지 영어로 짓고 있다. 그리고 박정희 정부가 한글 살리기 정책을 펴면서 거리 간판이 한글이었는데 이제 명동거리는 한국이 아니고 미국처럼 보일 정도로 영어간판이 가득하다. 

 

  영어를 모르는 시어머니가 찾아오지 못하게 하려고 영어로 아파트이름을 짓는다는 말까지 있더니 요즘에는 영어를 섞어 지은 아파트이름이 25자나 되어 젊은이도 외우고 찾아보기 힘들다. 미국에 사는 사람도 그 영어이름과 간판이 무슨 말인지 뜻도 알 수 없다며 부끄럽다고 말한다.

 

  최근 건설사들이 짓는 아파트 이름은 여러 외래어를 조합하는 방식이다. 팰리스(성), 레이크(호수), 캐슬(성), 포레(숲) 등에서부터 에르테온, 라체르보 등 의미가 한 번에 전달되지 않는 단어들이 많아서 광주 빛고을초등학교 학생들이 영어간판이 많아 읽기 힘들다면서 “예쁜 한글 간판 많이 보고 싶어요”라고 정준호 국회의원에게 편지를 해서 간판을 한글로 써야 한다는 옥외광고물관리법 개정안을 냈다고 한다. 잘못된 말글살이를 바로잡으려고 나선 어린 학생들과 정준호 의원이 고맙다. 이 법이 꼭 통과되어 영어 간판이 사라지길 바란다.

 

▲ 뉴스1에 보도된 명동거리 간판들. 외국 글을 쓰더라도 한글과 함께 쓰게 된 법을 어긴 간판  © 리대로





<대자보> 고문
대학생때부터 농촌운동과 국어운동에 앞장서 왔으며
지금은 우리말글 살리기 운동에 힘쓰고 있다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공동대표

한국어인공지능학회 회장

한글이름짓기연구소 소장
세종대왕나신곳찾기모임 대표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4/10/07 [06:03]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